• 인사말
  • 시조나라 작품방
시조감상실
  • 현대시조 감상
  • 고시조 감상
  • 동시조 감상
  • 시조시인 시집 엿보기
신춘문예/문학상
  • 신춘문예
  • 중앙시조백일장
제주시조방
  • 시조를 읽는 아침의 창
시조공부방
  • 시조평론
휴게실
  • 공지사항
  • 시조평론
  • 시조평론

중앙시조 백일장

Home > 수상작품실 > 중앙시조백일장
제목 2022년 10월 중앙시조백일장 수상작 등록일 2022.11.04 21:25
글쓴이 시조나라 조회 271

장원

하루를 닫는 시간
김경숙

흔들리는 하루가
가지 끝에 매달려

울지 못한 시간을
밤 깊도록 깁는다

다 못 쓴 내 젖은 언어는
눈이 부은 그믐이네

차상

도토리거위벌레
조현미

바람도 잠든 숲속 고요 깊은 한낮에
벌레들 톱을 켠다, 나뭇잎이 듣는다
길둥근 나래를 펴고 꽃 이울듯 사뿐하게

단단한 둘레 중심 화인처럼 찍힌 점이
내밀한 정표 같아 배꼽을 똑 닮아서
한 줄금 먼지잼에도 마음 먼저 젖는 날에

탯줄 자른 자리에 길은 또 새로 움터
무른 살 먹고 자란 어미의 딸 어미들이
불멸의 신화를 쓴다, 수억 년째 서사시를

차하

할미꽃
김영수

시집 온 첫 여름에 지아비를 잃은 강산
원망도 버릇처럼 웃음으로 만개하며
덜 아문 포탄 자국의 멍을 풀어 피는 꽃

풍진 세사 떠안은 채 포성 소리 덧댄 세월
자줏빛 송이마다 귀를 세운 오지랖이
백발로 꼬부라지는 한 생애의 눈물꽃

이달의 심사평

10월은 수확의 달이기도 하다. 처음 시상을 얻어 그것에 의미를 부여하고 언어적 조탁을 거쳐 한 편의 작품으로 완성하는 것 또한 땅을 갈고 씨를 뿌려 물을 주고 길러서 열매를 수확하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는 생각을 해본다.

이달의 장원에 ‘하루를 닫는 시간’(김경숙)을 앉힌다. 단시조의 묘미를 잘 보여주는 단정한 작품으로 언어의 미적 가공의 과정을 잘 거쳤다고 하겠다. 서정성 짙은 제목부터 미학적 힘을 거느리고 있다. 하루가 끝나는 밤을 시간적 배경으로 하면서 닿지 못할 갈망에의 상처 입은 내밀한 정서를 잘 다스린 사유의 언어로 조탁하였다. 함께 보내온 다른 작품들도 오랜 습작을 짐작하게 하여 미더움이 더했다는 점을 밝힌다.

차상에는 ‘도토리거위벌레’(조현미)를 올린다. 딱딱한 도토리에 주둥이로 구멍을 내어 거기에 알을 낳는 도토리거위벌레의 번식과 생존에서 세상 모든 어미들이 지닌 본능적인 강인한 생명력을 겹쳐놓았다. 어미벌레가 도토리에 뚫은 구멍을 배꼽으로, 그 탯줄 자른 자리에서 이어지는, “어미의 딸 어미들”이 쓰는 “불멸의 신화”로 확장해 나가는 솜씨가 돋보이는 깊이 있는 작품이다. 어떤 한 사물이나 현상에 대해 오래 천착하고 매달린 힘이 느껴진다.

차하로 뽑힌 ‘할미꽃’(김영수)은 시골 들녘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할미꽃을 “덜 아문 포탄 자국의 멍을 풀어 피는 꽃” “백발로 꼬부라지는 한 생애의 눈물꽃”으로 진술하였다. 전쟁으로 일찍 지아비를 잃은, 이 땅의 아픈 역사 속 한 여인의 생을 끌어옴으로써 진술의 시적 진정성을 확보하였다. 한 가지 덧붙인다면, 한장의 네 음보(마디) 길이가 모두 같지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시조는 특히 시어와 시어, 장과 장이 조응함과 동시에 서로 긴장하는 정교한 구조물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응모해 온 모든 분께 강조하면서, 유인상·윤영화·조우리의 다음 작품을 기대해본다.

시조시인 김삼환·서숙희(대표집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