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말
  • 시조나라 작품방
시조감상실
  • 현대시조 감상
  • 고시조 감상
  • 동시조 감상
  • 시조시인 시집 엿보기
신춘문예/문학상
  • 신춘문예
  • 중앙시조백일장
제주시조방
  • 시조를 읽는 아침의 창
시조공부방
  • 시조평론
휴게실
  • 공지사항
  • 시조평론
  • 시조평론

신춘문예/문학상

Home > 수상작품실 > 신춘문예/문학상
제목 2016년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등록일 2016.01.13 21:11
글쓴이 시조나라 조회 1760

[2016 서울신문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


구름 위의 구두

유순덕

 

밤늦도록 소슬바람 별자리가 휘고 있다

모래폭풍 부는 방이 공중으로 떠올라도

심 닳은 연필을 쥐고 청년은 잠이 든다

도시 계곡 빌딩 숲을 또 감는 회리바람

도마뱀 꼬리 같은 추잉검만 질겅대고

수십 번 눈물로 심은 비정규직 이력서

윤기 나게 닦은 구두 구름 위에 올려놓고

조간신문 행간에서 술빵 냄새 맡는 아침

환청의 발걸음 소리 꽃멀미에 가볍다

 

 

[2016 신춘문예 시조-당선소감] 오랜 습작 시간 함께 한 마음 속 흰새 날려보낸다

유순덕


저물녘이면 어김없이 개울을 찾던 흰 새가 있다. 이따금 가까이 혹은 멀리 날아갔다가도, 바다를 건너며 죽음과 사투를 벌이고도, 어김없이 같은 장소를 찾아들었다. 간절한 무엇으로 그곳을 떠날 수 없는 것 같았다. 그때마다 능선 너머에서는 아버지의 슬픈 시조 가락이 들려왔다.


 그렇게 마음속 해도를 그려주며 열 번의 계절들을 맞고 보냈다. 흰 새와 함께한 시간은 내 오랜 습작의 시간이었다.


당선 소식을 듣던 오전 꿈일까 생시일까 한동안 멍했다. 이제 한자리에서만 서성이던 마음속 흰 새를 하늘 높이 날려 보낸다. 그런 이 순간, 너무 많은 얼굴이 떠오른다.


학문 연구와 시 창작을 함께 지도해주신 경기대 이지엽 지도교수님과 김제현, 윤금초, 박영우, 남진우, 박덕규, 서형범, 이찬, 하린, 열린시조학회, 경기대 교육원 시창작반 선생님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또한, 항상 칭찬과 격려를 아끼지 않는 사랑하는 내 가족 박흥배 박사님과 아들 현우, 딸 현아. 일찍 가신 존경하는 아버지, 마음 한쪽을 아프게 하는 가족들에게도 사랑의 마음을 전한다.


끝으로 부족하기만 한 작품에 눈길을 주시고 뽑아주신 이근배, 박기섭 두 심사위원님과 서울신문 관계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랑과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1967년 전북 고창 출생 ▲경기대 국문과 졸업 및 동대학원 박사 과정 수료. 단국대·명지대 대학원 문창과 석사 과정 수료.

 

[2016 신춘문예 시조 당선작-심사평] 소재의 참신함에 현대 시조다운 제목 돋보여

 

시조는 천년의 시인 동시에, 오늘의 시다. 그 양가성을 가능케 하는 것이 시조가 가진, 시조만의 정형미학이다. 시조는 형식에 ‘갇힌’ 게 아니라, 형식을 ‘갖춘’ 시다. 시조의 정형미학은 그 갇힘과 갖춤의 차이에서 출발한다. 


올해는 양과 질 모두에서 기댓값 이상의 수확이다. 응모편수가 지난해에 비해 30% 이상 늘어난 데다, 작품의 성취도 또한 상승세가 뚜렷하다. 그간 하나의 경향성을 보였던 역사나 자연시편이 줄어든 대신, 명퇴나 비정규직 같은 당대 삶의 문제에 관심이 증폭된 것도 고무할 만한 일이다.

 

‘구운몽 여름’(박경희), ‘다시, 와온’(장은해), ‘봄, 난타’(강선희), ‘꽃비, 은비늘 입다’(고윤석), ‘구조조정’(정미경), ‘구름 위의 구두’(유순덕) 등이 마지막까지 각축을 벌였다.


 역사현실에 충실한 박경희의 ‘구운몽 여름’은 놓치기 아까운 가작이다. 유배의 자취와 풍경을 결속하는 솜씨가 만만찮은 시력을 짐작게 한다. 그러나 주제의식을 부각하는 표현의 밀도 면에서 아쉬움이 남는다.

      

유순덕의 ‘구름 위의 구두’를 당선작으로 낙점한다. 소재의 참신함이 돋보이는 데다, 제목부터가 짐짓 현대시조답다.


 청년실업이라는 우리 사회의 어두운 그늘을 정면에서 응시한다. ‘심 닳은 연필을’ 쥔 채 잠든 ‘청년’의 밤은 ‘소슬바람’에 ‘별자리가 휘고 있다’. 정황 묘사를 넘어서는 심리 묘사가 발군이다.


생존 현장에 직핍한 정서의 힘은 셋째 수에서 정점을 이룬다. 출근을 고대하며 ‘윤기 나게 닦은 구두’. 하지만 그 구두를 ‘구름 위에 올려놓을’ 수밖에 없는 암담한 현실이 ‘조간신문 행간에서 술빵 냄새’를 맡게 하는 것이다.

 

불과 얼음을 건너 우리 곁에 온 또 한 사람의 시인에겐 축하의 박수를, 혼신의 작품으로 신춘 무대를 빛낸 여러 잠재시인에겐 격려의 박수를 보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