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사말
  • 시조나라 작품방
시조감상실
  • 현대시조 감상
  • 고시조 감상
  • 동시조 감상
  • 시조시인 시집 엿보기
신춘문예/문학상
  • 신춘문예
  • 중앙시조백일장
제주시조방
  • 시조를 읽는 아침의 창
시조공부방
  • 시조평론
휴게실
  • 공지사항
  • 시조평론
  • 시조평론

중앙시조 백일장

Home > 수상작품실 > 중앙시조백일장
제목 2021년 07월 중앙시조백일장 수상작 등록일 2021.08.07 12:12
글쓴이 시조나라 조회 445

〈장원〉

그래, 그래
-손창완

가요에선 사랑이 글에서는 어머니가
삼시 세끼 밥처럼 뉘에게나 먹히지만
당신은 밥을 위하여
논이 된 그래, 그래

소에게 밟히고도 아프다 한 적 없고
물새 똥 싸질러도 내색 없이 계시는
피사리 못 해 드려도
난 괜찮다 그래, 그래

표현 못 한 사랑은 비문이 되는 건지
글 한 줄 못 되 보고 흙으로나 사셨던
나 이제 적어 봅니다
그래 그래, 우리 아버지

 

◆ 손창완

 

1966년 경기도 평택시 출생, 오산시청(스마트징수팀장)근무, 2020년 공직문학상 은상. 2020년 11월 중앙시조백일장 장원.


 

〈차상〉

쌀국수
-김경아

면발을 슬쩍 말아 입안에 후룩 넣다가
센 양념 때문인지 사레들린 작은 올케
꾹 누른 인도차이나 들켜 버린 설움이

바다를 횡단하다 둥지 튼 도도새처럼
낯선 땅 찾아들어 날개라도 꺾인 걸까
비행기 뜨는 소리에 두세 번의 헛기침

국물에 다문다문 파릇이 뜬 야채 보며
마치 천하절경 하롱베이 같다는
어쩌면 젓가락 노질로 고향 향해 가나 보다

〈차하〉

무당거미
-박숙경

배롱나무 가지 사이 굿당 하나 차려졌다
바싹하게 말려진 잠자리 모기 나방
더럽게 재수 없는 놈, 저들끼리 손가락질

고깔을 쓴 바람이 방울을 흔들었다
순식간에 굿 한판이 태풍처럼 지나간 후
낮달이 예인줄에 걸려 마른 잎과 흔들릴 뿐

좌판 삶이 벼랑이라던 여자의 엷은 미소
숨죽여 나부끼면 거미줄보다 더 질길까
무심결 내뱉은 독백 바람이 비껴갔다

〈이달의 심사평〉

데뷔는 시작일 뿐, 그러므로 더 오랜 습작기를 거칠수록 좋다. 군살을 빼고 근육을 키워야 오래 또 멀리 간다.

주저 없이 손창완의 ‘그래, 그래’를 올린다. 누구나 쉽게 뱉던 말들이 그의 손끝에서 간절한 사부곡을 탄생시켰다. 말에는 영혼이 살고 있다. “당신은 밥을 위하여”나 “글 한 줄 못 돼 보고 흙으로나 사셨던”과 같은 여과 없는 말들이 가슴을 적신다. 시의 생명은 메타포나 이미지에 있지 않고 진실성에 있다. 차상으로 김경아의 ‘쌀국수’를 선한다. 다소 직설적인 표현에도 다문화시대의 족보를 끌어안는 솜씨가 각 수의 종장마다 스며들어 올케를 향한 안광과 관념을 걷어내고 흰소리 없는 표현이 눈에 꽂힌다. 동시에 “젓가락 노질”로 시조를 향해 가는 발싸심에서 담금질이 엿보인다.

시는 말로써 존재할 뿐 아는척하지 않는다. 장원이나 차상의 작품이 그렇다. 차하로는 박숙경의 ‘무당거미’를 택한다. 활유법을 통한 대상에서 생동감을 얻고 있으나 시에 맞는 품격이나 적확한 수사가 아쉽다. “낮달”과 “좌판 삶”과의 비유는 빼어나다. 새로운 이들의 응모와 함께 한영권·구지평·최진도씨에게 격려와 함께 다음을 기대한다.

최영효(대표집필)·김삼환 시조시인